logo
오송 지하차도 마지막 실종자까지 발견…참사 원인 규명 수사 진행

오송 지하차도 마지막 실종자까지 발견…참사 원인 규명 수사 진행

박예진 기자 기자
입력
수정
16일 ‘오송’ 검색량 23만 3,000건, 최근 1년 중 최고치
▶이미지=뉴스포미

경찰에 신고된 마지막 실종자가 발견되면서 오송 지하차도 수색작업이 종료된 가운데 국무조정실이 참사 원인 규명 작업을 시작했다.

뉴스포미가 빅데이터 마케팅 기업 팅코(TINCO)의 키워드 분석 플랫폼 팅서치를 통해 14일부터 17일까지 오송 검색량을 분석한 결과 15일부터 상승하기 시작한 검색량은 16일 정점을 찍었다.

14일 약 1,500건이었던 검색량은 16일 약 23만 3,000건까지 증가하며 1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후 17일 약 11만 8,000건으로 검색량이 떨어졌으나 이전 한 달 평균 검색량(약 1,500건)의 78배 이상 높은 수치로 시민들의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송에 관심을 가진 이들의 성비를 살펴보면 △남성 60% △여성 40%로 남성이 우위를 점했으며, 연령비의 경우 △10대 3% △20대 20% △30대 30% △40대 25% △50대 22%로 30대가 이번 참사에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다.

17일 저녁 7시 52분경 지하차도 밖에서 마지막 실종자를 발견했다. 사망자 14명, 부상자 9명을 기록하며 경찰의 오송 지하차도 내부 수색이 마무리된 가운데 소방당국은 지하차도 외부에서 실종자에 대한 수색을 이어갈 방침이다.

소방당국은 집중호우에 의한 도로 침수와 제방 붕괴가 이번 사고의 1차적 원인이라고 밝혔다. 제방이 무너진 곳은 지하차도로부터 직선거리로 500m가량 떨어진 미호천이라는 금강 하천으로 당시 다리 확장 공사를 위해 임시로 쌓았던 미호천의 제방이 터진 것으로 추정된다.

국무조정실은 각 기관의 안전조치 내역을 조사하는 원인 규명 작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사고 발생 직전 152일 새벽 충청북도와 청주시, 흥덕구 등 현장을 관할한 광역, 기초자치단체와 경찰, 소방에 들어온 모든 위험 신고, 후속 조치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는 중이다.

한편 침수 직전 침수를 예고하는 112 신고가 접수됐지만 초기 대응에 실패해 침수가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국무조정실 관계자는 경찰이 교통 통제의 주체 중 하나지만 도로 관리와 홍수 상태 등을 모두 파악하는 것은 아닌 만큼 오인 출동 자체가 핵심 사안은 아니라고 밝혔다.

국무조정실은 관련 모든 기관은 예외 없이 조사 대상에 포함된다고 설명하며, 결과가 나오는 대로 발표하고 징계와 고발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예진 기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팅서치#뉴스포미#오송#지하차도#폭우#국무조정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