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합리한 정부 방송광고…가이드라인 마련 시급
공신력 있는 가이드라인 마련 촉구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이 “늘어나는 정부의 방송 광고를 집행하는 데 있어, 객관식 지표가 모호해 주먹구구식으로 집행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27일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 보도자료에 따르면 박 의원은 “정부 광고는 수신료와 같이 국민의 세금으로 집행되기 때문에 공정하고 객관적인 정부 방송광고 시장이 조성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종편 방송사인 MBN과 지상파 방송사 KBS를 비교하며 “MBN과 KBS의 평균 시청률 차이는 약 2.7배에 불과하지만 정부 광고 매출액은 8.6배까지 차이가 났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상파 방송 사이에서도 광고 배분의 불합리한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라며 “SBS의 시청률이 MBC, KBS와 유사하게 약 30% 하락했음에도 광고 매출액은 고작 6%, 13억 원 소폭 증가에 그쳤다”라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광고 선정에 여러 요인들이 있다고 하지만 그동안 별다른 히트작도 없이 경영난을 겪으며 지지부진한 KBS, MBC를 생각하면 많은 히트작을 낸 SBS의 차별은 근거가 없어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지상파와 종편 간의 경계가 무의미해진 현재 상황을 반영하여 정부 광고가 KBS, MBC 등의 민노총 언론노조가 장악한 노영 방송에 집중되는 것은 불합리하다”라고 꼬집었다.
끝으로 박 의원은 “정부 인쇄 광고처럼 시청률과 같은 최소한의 객관적 지표를 바탕으로 한 정부 방송 광고의 집행을 통해 방송광고 시장의 공정한 경쟁이 이뤄져야 한다”라고 주장하며 “정부 기관이 홍보 매체 선정 시 이용할 수 있는 공신력 있는 매체력을 기준으로 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주길 바라는 바이다”라고 촉구했다.